600대 상장기업 종업원 100명 중 여성은 23명

[보도자료]
2015-06-17 | 고용복지팀 한지영 선임조사역
150617_여성 직원을 위한 기업별 운영 프로그램 제도 사례.pdf   

    600대 상장기업 종업원 100명 중 여성은 23명

    - 매출액 600대 상장사 여성비율 분석 -


    - 여성비율 높은 업종 : 도매 및 소매업 (50.9%),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35.9%), 운수업 (30.3%) 순

    - 여성비율 높은 기업 : KT CS (80.7%), 남영비비안 (79.8%), 웅진씽크빅(76.9%), KT is (76.1%), 신영와코루 (74.1%), 신세계인터내셔날(73.7%) 순

    - ’14년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여성비율은 각각 15.8%, 22.7%로 대기업이 더 높아


    매출액 상위 600대 상장기업의 직원 100명 중 23명이 여성이나, 도매 및 소매업에는 직원 100명 중 51명이 여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4년 매출액 600대 상장기업(금융·보험업 제외)의 남여 직원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전체 직원 121만 2,773명 중 남성이 93만 9,053명(77.4%), 여성이 27만 3,720명(22.6%)으로 나타났다. 이는 ’11년 전체 직원 110만 7,286명 중 남성 86만 2,653명(77.9%), 여성 24만 4,633명(22.1%)에 비해 여성 비율이 0.5%p 늘어난 수치다.

    11년, 14년 매출액 600대 상장기업 남녀 직원 수


    여성 직원 비율이 높은 업종은 도매 및 소매업(50.9%),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35.9%), 운수업(30.3%) 순이었으나, 전체 여성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근무하는 제조업의 여성 비율은 17.8%였고, 여성 근로자 비율이 가장 낮은 업종은 건설업(7.1%)이었다.

    < ’11년, ’14년 매출액 600대(금융·보험업 제외) 상장기업의 업종별 여성 직원 비율 >
      업종 2011년 2014년
    기업 수 남성
    (비율)
    여성
    (비율)
    기업 수 남성
    (비율)
    여성
    (비율)
    1 도매 및 소매업 53 48,156
    (54.5)
    40,172
    (45.5)
    48 54,628
    (49.1)
    56,623
    (50.9)
    2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31 57,715
    (64.7)
    31,469
    (35.3)
    32 62,111
    (64.1)
    34,850
    (35.9)
    3 운수업 18 33,455
    (69.5)
    14,691
    (30.5)
    18 34,641
    (69.7)
    15,078
    (30.3)
    7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3 12,090
    (89.7)
    1,386
    (10.3)
    6 20,722
    (81.0)
    4,849
    (19.0)
    4 제조업 413 593,244
    (81.4)
    135,406>
    (18.6)
    425 668,092
    (82.2)
    144,674
    (17.8)
    5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27 39,761
    (86.6)
    6,146
    (13.4)
    11 16,897
    (84.4)
    3,124
    (15.6)
    6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11 23,188
    (86.5)
    3,608
    (13.5)
    11 23,993
    (85.0)
    4,244
    (15.0)
    8 건설업 33 46,209
    (93.9)
    2,995
    (6.1)
    38 48,804
    (92.9)
    3,724
    (7.1)
    9 기타 11 8,835
    (50.2)
    8,760
    (49.8)
    11 9,165
    (58.3)
    6,554
    (41.7)
      총계 600 862,653
    (77.9)
    244,633
    (22.1)
    600 939,053
    (77.4)
    273,720
    (22.6)

    * 위 업종 분석에서 ‘해당 기업이 3개 이하 & 업종별 총합이 당해 600대기업 총합의 1%미만’인 업종은 기타로 분류


    ’14년 여성 직원 비율이 높은 상위 7대 상장 기업은 KT CS(80.7%), 남영비비안(79.8%), 웅진씽크빅(76.9%), KT is(76.1%), 신영와코루(74.1%), 신세계인터내셔날(73.7%), 현대그린푸드(71.2%) 순이었다.

    < 업종별 여성비율이 높은 상장기업 >
    순위 도매 및 소매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운수업
    기업명 여성비율 기업명 여성비율 기업명 여성비율
    1 신세계인터내셔날 (73.7%) KT CS (80.7%) 아시아나항공 (54.8%)
    2 현대그린푸드 (71.2%) 웅진씽크빅 (76.9%) 대한항공 40.9%)
    3 광주신세계 (69.2%) KT is (76.1%) - -
    4 롯데쇼핑 (68.1%) 웅진홀딩스 (66.6%) - -
    5 신세계 (65.5%) CJ CGV (48.7%) - -

    기업규모별 여성 직원 비율은 1~99인 기업 15.4%, 100~199인 16.8%, 200~299인 16.4%, 300~999인 19.4%, 1,000인 이상 기업은 23.2%로 나타나, 기업 규모가 클수록 여성 직원 비율이 높았다. 대기업의 여성 직원 비율(22.7%)이 중소기업(15.8%) 보다 6.9%p 더 높았다.

    14년 매출액 600대 상장기업 규모별 여성직원 비율


    여성비율이 높은 기업들은 여성이 회사생활과 가정을 동시에 잘 꾸려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원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출근시간을 오전 7시~10시 사이 한 시간 단위로 선택할 수 있는 ‘ABC 워킹타임제도’ 시행, 롯데하이마트는 워킹맘을 위한 Mom’s 패키지(대표이사 서신, 기저귀, 물티슈 등) 지급, 아시아나항공은 육아휴직 후 안정적인 복직을 위한 ‘직장 내 심리상담소’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전경련 고용복지팀 이철행 팀장은 “기업들이 여성인재들이 출산과 육아로 인해 경력단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종 지원을 늘리고 있다.”며 “정부도 워킹맘들이 마음 놓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공공 보육시설 확충 등에 힘써야 한다.”고 밝혔다.



    [첨부] 여성 직원을 위한 기업별 운영 프로그램·제도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