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분기 내수업종 경기부진 지속, 수출업종 전년수준 전망

[보도자료]
2008-09-29 | 기반산업팀 강수정 조사역
4분기 경제전망 보고서.hwp   

     
    조사 개요
     
       
  • 조 사 명 : 주요업종별 ’08년 3/4분기 동향 및 4/4분기 전망
  • 조사방법 및 기간 : 自記式 설문지 조사, ’08. 9. 1 - ’08. 9. 19
  • 조사대상 : 주요 업종별 협회 (조선·자동차·석유 등 총 19개)


  • 4/4분기 내수업종 경기부진 지속, 수출업종 전년수준 전망

    - 전경련, 2008년 3/4분기 산업동향 및 4/4분기 전망 -


    4/4분기 내수업종의 경기는 전년 동기보다 못하고 수출중심 업종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경련이 주요 업종단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08년 3/4분기 산업동향 및 4/4분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 석유화확, 유통 등 내수업종의 경기가 전년동기보다 악화되고, 자동차·타이어·전자·섬유 등 수출중심 업종은 전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조사대상 19개 업종 중 조선·반도체·철강만 전년보다 좋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업종별 2008년 4/4분기 전망(전년동기 대비)
    구분
    종합
    경기
    건설, 시멘트, 비철금속, 일반기계, 석유,석유화학, 유통, 제지
    자동차, 타이어, 전자, 전기, 전력, 공작기계, 섬유, 화섬
    조선, 반도체, 철강
    채산성
    건설, 시멘트, 비철금속, 일반기계, 공작기계, 석유, 석유화학,
    섬유, 유통, 제지
    자동차, 타이어, 철강, 전자, 전기, 전력, 화섬
    조선, 반도체

    국내외 경기침체로 건설ㆍ시멘트ㆍ석유ㆍ유통 업종 악화 지속

    건설 수주는 미분양 아파트가 쌓이는 가운데, 건자재 가격상승, 민자사업 부진, 최저가 낙찰제 도입 등에 따른 수주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14.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건설경기 침체 영향으로 시멘트 내수도 전년동기 대비 1.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석유는 LPG수요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국내외 경기악화 및 고유가에 따른 소비 둔화로 내수판매는 전년동기 대비 2.9% 감소할 전망이다. 유통은 3/4분기에 추석효과로 총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7.3% 증가하였으나, 4/4분기에는 미국발 경기불안감 확대 등에 따른 가계소비 위축으로 총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2.5% 감소(백화점 △3%, 대형마트 △2%)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ㆍ공작기계ㆍ전자 업종은 보합세

    자동차는 국제적인 금융불안에도 불구하고 경차 및 LPG차량의 수요 확대로 전년동기 대비 내수는 2.2%, 수출은 4.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타이어는 RV 및 신차용타이어(OE) 수요로 전년동기 대비 내수는 5.0%, 수출은 13.5% 증가할 전망이다.
    공작기계는 내수부진(△3.8%)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중남미?동유럽?인도 등 신흥시장의 높은 수요증가에 힘입어 수출은 11.5%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는 프리미엄급 제품 수요 증가로 내수는 전년동기 대비 2.8% 증가하고, 수출은 7.3%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조선은 높은 선가로 수주한 물량들이 본격적으로 수출되고 있어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78.8% 증가하는 등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는 생산 조정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8.6% 증가할 전망이다.

    환율급변 및 글로벌 금융불안을 해소할 대책마련 시급

    전경련은 최근 환율변동이 심각해 경영환경이 불안하고, 미국발 경기불안 및 금융 부실사태에 따른 경기침체로 수출에 의존하는 대부분 기업들의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2008년도 3/4분기 산업동향 및 4/4분기 전망
    (단위 :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 %)
    업종
    전망
    생산
    내수
    수출
    수입
    ’08.3/4
    ’08.4/4
    ’08.3/4
    ’08.4/4
    ’08.3/4
    ’08.4/4
    ’08.3/4
    ’08.4/4
    자동차
    1.3
    2.8
    0.0
    2.2
    △3.3
    4.4
    29.4
    22.5
    타이어
    7.1
    3.1
    4.6
    5.0
    10.7
    3.5
    39.3
    △2.2
    조 선
    34.5
    25.6
    -
    -
    67.6
    78.8
    -
    -
    철 강
    7.8
    6.1
    6.5
    2.5
    9.3
    17.4
    10.9
    △9.2
    비철금속
    3.4
    0.6
    1.9
    △2.5
    11.6
    1.5
    5.6
    △3.8
    건 설*
    △0.7
    △14.4
    -
    -
    -
    -
    -
    -
    시멘트
    1.4
    △1.6
    8.5
    △1.2
    △2.1
    1.5
    △15.5
    △4.5
    전 기*
    4.6
    4.7
    -
    -
    16.2
    22.7
    11.9
    16.2
    전 력
    4.2
    4.5
    5.8
    5.2
    -
    -
    -
    -
    섬 유
    △2.5
    △3.8
    △7.4
    △4.5
    6.0
    2.6
    12.0
    10.3
    화 섬
    △0.9
    △2.0
    △2.9
    △3.6
    1.8
    △1.8
    11.1
    7.5
    석 유
    △0.8
    △2.5
    △3.0
    △2.9
    60.9
    19.5
    45.3
    22.9
    일반기계*
    9.5
    3.6
    8.4
    △0.5
    23.9
    16.9
    24.8
    7.2
    공작기계*
    5.5
    2.9
    1.0
    △3.8
    5.2
    11.5
    3.2
    △6.3
    전 자*
    2.4
    2.9
    3.3
    2.8
    9.3
    7.3
    12.6
    8.0
    반도체
    1.7
    6.2
    -
    -
    △0.2
    9.2
    15.3
    8.6
    석유화학
    10.1
    9.9
    △0.7
    0.8
    18.8
    17.2
    △2.5
    △5.0
    제 지
    0.5
    0.6
    2.0
    0.5
    △0.6
    △1.1
    11.9
    9.6
    유 통*
    -
    -
    3.8
    △2.5
    -
    -
    -
    -
    1) 업종단체별 의견 조사를 통해 작성   2) 는 종합경기 호전, 는 전년수준, 은 악화를 뜻함
    3) *는 금액기준, 나머지는 물량기준    4) 건설은 건설공사 수주금액(경상가격) 기준
    5) 유통은 할인점 및 백화점 매출 합계

    한편, 전경련은 3/4분기에도 고유가와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공작기계, 섬유, 화섬, 석유화학, 건설, 시멘트, 유통업종의 채산성 악화가 예상된다고 밝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수출시장 다변화와 해외자원의 개발 및 확보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첨부] 2008년 2/4분기 산업동향 및 3/4분기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