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제7회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임원협의회 개최
-
[보도자료]
2007-08-29 |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전익주 연구원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제7회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임원협의회 개최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화
및 창업자의 기업가 정신 유지·발전을 위해서는 재정이 열악한 중소기업의 가업 승계시 상속세 부담을 줄이는 등 실효성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이사장 이윤호, 이하‘센터’)는 8월 29일(수, 11:30) 전경련회관
경제인클럽에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30대 그룹 대표기업의 상생협력 담당임원들과 산업자원부 안현호 산업정책관이 참석한 가운데‘제7회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임원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참석자들은 실제 상속세 부담으로 중소기업이 2세 경영자로 원활하게 승계되지 못할
경우, 중소기업의 창업주가 갖고 있는 경영노하우를 사장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적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투자된 비용이 매몰되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이들 기업과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대기업의 경쟁력은 물론 국가경제에도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가업승계 문제는 협력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역량강화 노력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은 주목할
만하다.
상생협력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하는‘멀리 보는’협력인데, 가업승계가 원활하지 못할 경우 해당 중소기업의 경쟁
기업군으로의 인수·합병 등에 대한 우려로 협력 중소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한 대기업의 장기적 혹은 대규모 지원에 대한 투자를 꺼리게 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날 회의에서는 모기업의 협력 중소기업에 대한 부품경쟁력 강화 등 중소기업의 역량강화,
대·중소기업간 상호 신뢰관계 구축 등을 위한 대기업들의 상생협력 사례 등에 대해서도 논의 되었다.
